페이지 타이틀 배경 pc 버전페이지 타이틀 배경 모바일 버전

법률정보

퇴거불응죄 | 구성 요건과 처벌 기준, 양형 기준 살펴보기

퇴거불응죄는 퇴거를 요청하는 요구를 받고도, 이에 불응하는 것으로 타인의 안정을 해치는 범죄입니다. 주거침입죄와 혼동되는 경우가 많지만 엄연히 다른 범죄입니다.

CONTENTS
  • 1. 퇴거불응죄 법적 정의arrow_line
    • - 퇴거불응죄 사례
  • 2. 퇴거불응죄 구성 요건arrow_line
    • - 퇴거 요구의 특성
  • 3. 퇴거불응죄 처벌 기준과 양형 기준arrow_line
    • - 퇴거불응죄의 양형기준, 양형요소는?
  • 4. 퇴거불응죄 피해자/피고인 대응방법arrow_line
    • - 퇴거불응죄 자주 묻는 질문
    • - 퇴거불응죄 자주 묻는 질문

1. 퇴거불응죄 법적 정의

퇴거불응죄 정의, 개념, 성립 요건

퇴거불응죄란 타인의 주거 공간, 건조물 등에 정당하게 들어갔으나 퇴거 요구를 받고도 나가지 않았을 때 성립하는 범죄를 말합니다.

이때 주거자, 간수자, 점유자 또는 이러한 사람으로부터 위임을 받은 사람을 퇴거 요구를 할 수 있는 사람, ‘퇴거 요구권자’라고 합니다.

이러한 퇴거 요구권자가 ‘나가달라’고 하는 퇴거 요구에도 나가지 않았다면 범죄가 성립합니다.

퇴거 요구는 수차례 반복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1회만으로도 충분하며 직접적으로 요구하지 않았어도 묵시적인 퇴거 요구 또한 인정되고 있습니다.

🔗주거침입죄와 구별

퇴거 불응죄는 주거침입죄와 혼동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퇴거불응죄는 적법한 방법을 통해 정당하게 들어갔지만, 퇴거 요구권자의 나가달라는 요구를 받고도 이에 불응하였을 때를 말합니다. 반면 주거침입죄는 정당한 사유 없이 또는 적법한 권한 없이 함부로 타인의 주거 등에 들어갔을 때 성립합니다.

h3 img퇴거불응죄 사례

퇴거불응죄가 성립하여 처벌받게 되는 행위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 헤어진 연인의 집에 찾아가 나가달라는 요구에도 경찰이 올 때까지 퇴거하지 않은 경우

• 영업시간이 종료되었으니 나가달라고 하였음에도 손님이 난동을 부리며 경찰이 올 때까지 퇴거하지 않은 경우

• 연예인의 경호원이 퇴거해달라고 요구했음에도 팬이 소란을 피우며 퇴거하지 않은 경우

• 임대차계약 기간이 종료되어 퇴거 요청을 하였음에도 이를 거부하고 계속 머무를 경우

2. 퇴거불응죄 구성 요건

퇴거불응죄 구성 요건은 행위 주체 및 객체, 행위와 퇴거 요구권자의 지위를 살펴야 합니다.

퇴거불응죄 구성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성요건

내용

행위 주체

타인의 주거 등에 적법하게 또는 과실로 들어간 자

행위 객체

사람의 주거, 관리하는 건조물, 선박, 항공기, 점유하는 방실

행위

퇴거 요구를 받고도 이에 응하지 않는 것

퇴거 요구권자

주거자, 관리자, 점유자 또는 이들의 위임을 받은 자

h3 img퇴거 요구의 특성

퇴거 요구에는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습니다.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행위자가 신체적으로 주거에서 나가면 퇴거불응죄는 성립하지 않습니다.

건물에서 퇴거하면서 가재도구 등을 남겨두었다 하더라도 퇴거불응죄의 성립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대법원 2007.11.15. 선고 2007도6990 판결).

3. 퇴거불응죄 처벌 기준과 양형 기준

퇴거불응죄 처벌 기준과 양형 기준

퇴거불응죄는 형법 제319조 제2항에 따라 다음과 같이 처벌됩니다.

형법 제319조(주거침입, 퇴거불응)

① 사람의 주거, 관리하는 건조물, 선박이나 항공기 또는 점유하는 방실에 침입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② 전항의 장소에서 퇴거요구를 받고 응하지 아니한 자도 전항의 형과 같다.

퇴거불응죄 처벌의 핵심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h3 img퇴거불응죄의 양형기준, 양형요소는?

법원은 퇴거불응죄의 양형기준은

범죄

감경

기본

가중

퇴거불응~ 6월4월 ~ 10월8월 ~ 1년6월

또한 범행의 감경 및 가중요소를 판단할 때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합니다.

  • 퇴거 불응의 지속 시간
  • 피해자가 입은 정신적, 물질적 피해의 정도
  • 범행의 동기와 목적
  • 범행 당시 정황
  • 피고인의 전과 및 범행 후 정황

4. 퇴거불응죄 피해자/피고인 대응방법

퇴거불응죄 피의자·피고인/피해자 대응방법

1)피해자인 경우

  • 명확한 퇴거 요구: 상대방의 퇴거를 원한다면 명확하게 의사를 표시하고, 가능하면 증인이나 녹음을 통해 이를 입증할 수 있도록 준비
  • 증거 수집: 퇴거 요구와 이에 불응한 상황에 대한 증거(CCTV, 녹음, 목격자 진술 등)를 확보
  • 즉각적인 신고: 퇴거 불응이 지속될 경우 경찰에 신고하여 상황을 해결
  • 법적 조치: 전문 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고소장을 작성하고 법적 절차를 진행

h3 img퇴거불응죄 자주 묻는 질문

2)피의자/피고인인 경우

  • 초기 대응의 중요성: 사건 초기부터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여 적절한 방어 전략 수립
  • 불리한 진술 자제: 조사 과정에서 함부로 진술하지 말고, 변호사와 상담 후 대응(🔗경찰조사 사전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 퇴거 요구의 정당성 검토: 퇴거 요구가 정당한 권한을 가진 자에 의한 것인지 확인
  • 관련 증거 확보: CCTV 영상, 녹음, 목격자 진술 등 유리한 증거를 확보

의뢰인이 어떤 상황에 처해 계시든, 베테랑 형사전문변호사는 의뢰인의 편에 서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임차인의 무리한 계약연장 요구 및 퇴거불응에 대한 명도소송 진행, 공동퇴거불응 피고인의 실형 방어 등을 이끌어낸 형사전문변호사가 의뢰인의 사안에 함께하겠습니다.

퇴거불응죄에 관한 법률 문제로 고민이 되신다면, 본 법인의 🔗형사전문변호사 법률상담예약을 하신 뒤 사안에 맞는 전략을 세워보시기 바랍니다.

h3 img퇴거불응죄 자주 묻는 질문

동거인이나 가족에게도 퇴거불응죄를 적용할 수 있나요?

동거인이나 가족이라도 주거권이 없는 경우(예: 임대차계약의 당사자가 아닌 경우) 주거권자의 퇴거 요구에 불응하면 퇴거불응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다만 법원은 가족관계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판단하는 경향이 있으며, 주거권의 소유 여부, 퇴거 요구의 정당성, 동거 기간 등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검토합니다. 가족 간 분쟁에서는 법률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퇴거불응죄의 대법원 판례가 궁금합니다.

대법원은 여러 퇴거불응 사례에서 중요한 법리를 확립했습니다. 종교시설 관련 판례(91도2309)에서는 교회의 자율성을 인정하여 예배 방해 목적으로 출입한 자에 대한 퇴거 요구를 정당하다고 보았습니다. 노사관계 판례에서는 정당한 직장폐쇄 시 퇴거불응죄가 성립하지만(91도1324), 파업 시작 4시간 만에 이루어진 성급한 직장폐쇄는 정당하지 않아 퇴거불응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시했습니다(2007도5204).

관련 구성원

더보기

김효준변호사님

김효준

수석변호사

이메일

형사전문 변호사

T. 070-7510-1044

신동훈변호사님

신동훈

수석변호사

이메일

형사전문 변호사

T. 070-7510-1820

변관훈변호사님

변관훈

수석변호사

이메일

형사전문 변호사

T. 070-7510-1755

허지선변호사님

허지선

수석변호사

이메일

동작경찰서 경미범죄 심사위원

T. 070-7510-1755

박정호변호사님

박정호

책임변호사

이메일

형사전문변호사

T. 070-7510-1044

심가현변호사님

심가현

선임변호사

이메일

형사전문 변호사

T. 070-7510-1755

모든 분야 한 눈에 보기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