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 1. 약식기소 | 개념
- - 약식기소 | Q&A
- 2. 약식기소 | 법령
- 3. 약식기소 | 절차
- - 약식기소 | 불복
- - 약식기소 | 정식재판 청구
- - 약식기소 | 형 상향 금지
- 4. 약식기소 | 단점
- - 약식기소 | 전과기록
- - 약식기소 | 대응
1. 약식기소 | 개념
약식기소는 사건의 수사가 검찰로 넘어갔을 때 검찰에서 피고인이 저지른 범죄가 징역 또는 금고보다 벌금형에 해당된다고 생각될 때 법원에 약식명령을 해달라고 청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약식기소는 원칙적으로는 기소와 구분되지만 공소의 제기와 동시에 서면으로 청구하기에 약식기소, 또는 구약식이라고 칭하기도 합니다.
약식기소가 내려지면 공판절차 없이 약식절차에 따라 재산형에 처해지는데요, 이는 법정 출석 없이 사건을 마무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1약식기소 | Q&A
약식기소에서 재산형이 무엇인가요?
약식기소에서 재산형에는 벌금, 과료 또는 몰수 등이 해당 됩니다.
약식기소에서 과료 또는 몰수가 무엇인가요?
약식기소에서 과료는 2천원 이상 5만원 미만의 금전을 납부하게 하는 형벌입니다. 또, 몰수는 범죄행위와 관계있는 일정한 물품을 압수해 국고애 귀속시키는 형벌입니다.
2. 약식기소 | 법령
3. 약식기소 | 절차
검사는 피고인의 사건이 벌금, 과료 또는 몰수 정도의 형벌에 해당해 공판절차 없이 약식명령으로 하는게 맞다고 생각하는 경우 지방법원에 공소 제기와 동시에 서면으로 약식명령을 청구합니다.
지방법원은 검사의 약식명령의 청구를 인정하는 경우 청구가 있은 날부터 2주 이내에 약식명령을 합니다.
약식명령은 검사와 피고인에게 재판서를 송달하면 고지됩니다.
1약식기소 | 불복
약식기소에 불복하는 피고인은 고지를 받은 날부터 7일 이내에 서면으로 정식재판의 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정식재판의 청구가 있으면 법원은 검사에게 그 사유를 통지합니다.
2약식기소 | 정식재판 청구
약식기소 불복 후 정식재판을 청구하면 법원은 그 청구가 법령상의 방식에 위반되거나 청구권이 이미 소멸한 것이 명백한 때는 결정으로 청구를 기각할 수 있습니다.
피고인은 정식재판 청구 기각에 대해 즉시항고할 수 있습니다.
피고인의 정식재판이 적법한 경우 공판절차에 따라 심판하게 되는데요, 정식재판에 따른 판결이 있으면 약식기소의 효력이 사라집니다.
3약식기소 | 형 상향 금지
약식기소 불복 후 정식재판을 청구한 사건에 대해서는 약식명령의 형보다 상향된 형으로 선고할 수 없습니다.
*이 때 벌금형의 경우에는 더 높은 액수로 선고 받게 될 수 있습니다.
4. 약식기소 | 단점
약식기소는 신속하게 처리된다는 장점이 있다고 했는데요, 단점도 있습니다.
피고인이 자신의 입장을 변호할 기회를 얻지 못한다는 것인데요, 약식기소는 피고인이 자신의 권리를 보호 받을 수 있도록 변호사의 조력이 필수적입니다.
법무법인(유한) 대륜 🔗형사전문변호사 추천을 받으면 피고인에게 내려진 명령에 이의가 있을 경우 정식 재판을 청구할 수 있는 기회 등도 놓치지 않고 피고인에게 불이익이 없도록 돕습니다.
1약식기소 | 전과기록
약식기소에서 받는 벌금형도 전과기록에 남습니다. 전과기록이 남으면 취업 등에 다양한 불이익을 받게될 수 있습니다.
전과기록이 남지 않으려면 경찰 조사에서 혐의가 없다고 밝혀져야 되는데 약식기소로 넘어 온 경우에는 불복 후 정식재판을 청구해 선고유예 등을 판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2약식기소 | 대응
약식기소 불복 시 정식재판 청구를 위한 기간이 짧기에 신속하게 움직일 수 있는 승소 데이터베이스가 많은 전문가의 도움을 구하셔야 됩니다.
법무법인(유한) 대륜 🔗형사그룹은 검찰, 경찰, 수사관 출신 등 형사변호사가 사건을 처음부터 끝까지 책임집니다. |
관련 업무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