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 1. 허위사실유포죄란
- 2. 허위사실유포죄, 성립요건은
- 3. 허위사실유포죄, 처벌 수위는
- 4. 허위사실유포죄, 해결사례는
- - 허위사실유포 피해 고소대리한 A 씨의 사례
- - 사이버명예훼손죄 불송치처분 받은 B 씨의 사례
- 5. 허위사실유포죄, 대응방법은
- - 허위사실유포죄, 가해자인 경우
- - 허위사실유포죄, 피해자인 경우
- 6. 허위사실유포죄, FAQ
1. 허위사실유포죄란
허위사실유포죄란
진실이 아닌 것을 진실인 것처럼 꾸며 퍼뜨려서 남의 명예를 실추시키거나 남에게 해를 입힘으로써 성립되는 죄입니다.
통칭 ▶명예훼손죄 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인터넷이 발달하게 되면서, 온라인 공간에서 익명성을 방패로 한 비판과 비난이 난무하고 있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허위사실유포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합니다.
2. 허위사실유포죄, 성립요건은
허위사실유포죄의 성립요건은 공연성, 특정성, 비방목적 총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때 단 한 사람에게만 말했더라도 적시된 구체적인 사실의 내용이 전파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면 공연성이 성립됩니다.
반대로 고의성이 없었다면 형사처벌을 받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3. 허위사실유포죄, 처벌 수위는
허위사실유포죄의 처벌은 명예훼손죄에 기반한 형사처벌을 받게 됩니다.
또한 온라인으로 유포하게 된다면 사이버명예훼손죄로 가중처벌을 받게 됩니다.
공연히 허위사실을 적시하여 사람의 명예를 훼손한 경우 |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 |
비방의 목적으로 신문, 잡지 또는 라디오 기타 출판물에 의하여 공연히 허위사실을 적시한 경우 |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의 벌금형 |
허위사실을 정보통신망을 이용해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경우 |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 |
허위사실유포죄는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하여 피해자가 형사처벌을 원치 않는다면, 수사기관이 수사를 진행할 수 없습니다.
4. 허위사실유포죄, 해결사례는
허위사실유포죄에 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은 해결사례를 보며, 더 자세히 이해하도록 하겠습니다.
1허위사실유포 피해 고소대리한 A 씨의 사례
▶허위사실유포 피해 고소대리한 A 씨의 사례
A 씨는 남편과 이혼을 준비하던 중, 남편이 한 커뮤니티에 자신을 비방한 글을 게시한 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이에 명예훼손 고소를 결심하고 전문변호사에게 조력을 요청하셨습니다.
전문변호사는 A 씨의 신분을 특정할 수 있는 점과 명백한 허위사실임을 강조하였습니다.
조력 결과, A 씨의 남편은 벌금형을 선고 받았습니다. |
2사이버명예훼손죄 불송치처분 받은 B 씨의 사례
▶사이버명예훼손죄 불송치처분 받은 B 씨의 사례
B 씨는 SNS를 통해 애인의 바람 상대와 서로 비방하는 글을 올리다가 벌금형을 처벌받았는데요.
이후 다시 한번 비방글을 올려 고소를 당하여 전문변호사에게 조력을 요청하게 되었습니다.
전문변호사는 사실을 제시한 점과 상대가 먼저 도발한 점을 들어 주장하였습니다.
조력 결과, B 씨는 불송치처분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
5. 허위사실유포죄, 대응방법은
허위사실유포죄, 현명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지 가해자와 피해자의 입장에서 설명하겠습니다.
1허위사실유포죄, 가해자인 경우
허위사실유포죄를 저지른 경우에 제일 중요한 것은 피해자와의 원만한 합의입니다.
해당 죄는 반의사불벌죄가 적용되어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면 처벌을 받지 않습니다.
그 외에도 고의성 여부부터 참작할 범행 사유, 진지한 반성 등 양형 요소를 살펴보고 대응해야 하므로 전문변호사에게 조력을 요청하는 것이 현명한 대응방법입니다.
2허위사실유포죄, 피해자인 경우
허위사실유포죄의 피해자인 경우에는 유포 사실이 이른 시간 안에 전파될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그만큼 신속한 대응이 필요한데요.
이럴 경우 형사고소에서 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해당 사실이 허위임을 입증하거나 이를 기반으로 민사소송을 진행하여 손해배상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6. 허위사실유포죄, FAQ
Q. 진실을 얘기해도 허위사실유포죄가 성립하나요?
A.명예훼손 죄가 성립될 수 있습니다.
불특정 또는 다수인이 알 수 있도록 타인의 사회적 가치나 평가를 떨어트리게 된다면 명예훼손죄가 성립합니다.
다만 공공의 이익에 관한 내용이라는 게 인정된다면 처벌받지 않습니다.
Q. 집단에 대해 모욕을 하는 것도 허위사실유포죄가 되나요?
A. 그렇지 않습니다.
집단에 대한 모욕은 개개인에 대한 공격이라 보기 어려워 허위사실유포죄가 성립하지 않습니다.